제어문이란 주어진 조건의 결과값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수행 순서를 제어하거나 문장들의 수행 횟수를 조정하는 문장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제어문으로 If문이 있는데요, If문은 참(True)과 거짓(False)이라는 2가지 결과값만 갖습니다. 그렇다면, 2가지 이상의 결과값이 나오는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위치(Switch)란
스위치는 특정 표현식의 값을 기반으로 하는 여러 개의 statement를 실행하는 제어 흐름문 유형입니다. 최소한 3가지 이상의 잠재적인 action이 필요할 때 if문 대신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1+1 = 2" 라고 했을 때는 If문을 사용해서 참, 거짓 2가지 값 중에 하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란색 하면 생각나는 것은?"이라는 질문에 1번 바나나, 2번 민들레, 3번 계란말이, 4번 유치원 모자 중에서 선택하라는 보기가 있을 때는 참, 거짓이라는 2가지 결과값만 가질 수 없기 때문에 2가지 이상의 결과값을 줄 수 있는 Switch문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3가지 이상의 결과값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에 Switch문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1번이 아닌 경우, 2번이 아닌 경우, 3번이 아닌 경우... 이런 식으로 복잡하게 If문을 중첩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프로세스가 복잡해집니다.
스위치(Switch) Uipath 예문
1) Input Dialog 액티비티를 통해 "노란색하면 생각나는 것은?"이라는 심리테스트 문제를 낸다.
2) Switch문을 적용해서, 답변의 case에 따라 심리테스트 정답을 Message Box 액티비티로 제공해준다.
정말 간단하죠? 이렇게 switch 문을 사용하면, 참과 거짓으로만 결과값이 주어지는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양한 3가지 이상의 결과값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